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부동산 세무25

상속세 계산 방법 상속세 계산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상속세란 무엇인지, 상속세율, 상속세 면제 한도액, 상속세 신고기간 및 납부방법, 상속포기 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상속세 계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상속세라는 것이 세금 중에서도 복잡한 세금 중의 하나이므로 법률적 지식이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되신다면 법무법인 변호사, 세무사 등과 같은 상속세 전문가와를 통해 상속세 사례도 상담해보고 상속세 계산, 신고 및 납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상속세 계산 - 세액계산흐름표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세액계산흐름표를 안내드렸는데, 오늘은 상속세 계산 방법 설명에 앞서 한번 더 안내드리겠습니다. 세액 계산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시긱 바랍니다. 상속세 계산 - 항목.. 2020. 11. 28.
상속포기 절차 그리고 한정승인 상속포기 절차 그리고 한정승인 관련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 우선 상속이란 사망으로 인해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를 말하며, 상속이 개시되면 피상속인(사망자 또는 실종선고자)의 모든 재산은 별다른 유언이 없을 경우 법정 상속 순위에 따라 상속인에게 귀속됩니다. 법정 상속 순위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관련글 참고하세요. ▼ 관련글 ▼ ☞ 상속세율표 및 상속순위 별다른 부채가 없고 상속재산이 많다면 크게 문제가 없겠지만 상속재산에 비해 고인의 부채가 너무 많을 경우 오히려 상속인이 고인의 채무를 변제해야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상속인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상속포기와 한정승인을 통해 고인의 채무 변제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상속포기와 한정승인 은 상속.. 2020. 11. 27.
상속세 신고기간 및 납부방법 상속세 신고기간 및 납부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상속세율과 법정 상속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상속세를 내야할 상황이라면 꼭 상속세 신고기간 내에 신고하고 납부하셔야 합니다. 상속세 신고기간 내에 신고하고 납부하면 3% 신고세액 공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으나 상속세 신고기간 까지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거나 누락하여 적게 신고한 경우 10~40%의 무신고, 과소신고 가산세를 부담해야 하며, 국세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도 연 9.125%의 납부지연 가산세가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상속세는 과세표준에 상속세율을 곱하여 자진납부할 세액을 계산하는데, 개개인마다 비과세 상속재산, 채무, 사전증여재산 등 상속 공제 항목이 복잡할 수 있으므로 상속재산의 규모가 크거나 복잡한 상황에 얽혀 있다면 법.. 2020. 11. 26.
상속세율표 및 상속순위 상속세율표 및 상속순위 안내드리겠습니다. 우선 상속세란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당해 상속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말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보통 직계비속 상속 또는 배우자 상속이 가장 흔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상속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 상속세 면제 한도액이 있는데, 상속재산이 이 면제 한도액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속세를 전혀 신결쓸 필요가 없습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지난번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상속세 면제 한도액 다만, 상속세 공제 한도액 이상의 상속재산이 있는 경우 상속세를 납부해야하는데, 상속세가 다른 세금에 비해 다소 복잡한 세금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빚 등 부채가 있거나 공제해야할 항목이 많다면 법무사.. 2020. 11. 25.
상속재산 분할협의서 양식 및 작성 방법 상속재산 분할협의서 양식 및 작성방법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우선 상속이란 사망으로 그 재산을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것을 말합니다. 상속에는 법정상속과 유언상속이 있는데, 법정상속이란 상속인, 상속순위, 상속분 등을 전부 법률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민법에 따른 법정 상속순위를 살펴보면 1순위는 직계비속과 배우자, 2순위는 직계존속과 배우자, 3순위는 형제자매, 4순위는 4촌 이내의 방계혈족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유언상속이란 사망자의 유언에 의해 상속재산을 처분하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어머니가 사망하면서 아들과 딸에게 각각 얼마씩 주겠다고 유언을 했다면 그 금액만큼을 상속받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유류분과 기여분 등을 고려하여 상속분을 나눠야 하기 때문에 유언.. 2020. 11. 24.
증여세 계산 방법 증여세 계산 방법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에 의하여 재산이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일생을 살면서 누구에게나 며느리 증여, 형제 증여, 손자 증여, 자녀 증여 신고 해야 할 상황에 놓일 수 있습니다. 증여가 이루어진 경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당연히 증여세를 납부해야하겠지만 세금 계산은 항상 어렵게만 느껴지는 건 저 혼자만의 생각일까요? 하지만 미리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 쉽게 증여세 계산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손쉬운 증여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 계산 방법 우선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합니다.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오른쪽 세무캘린더 아래 ▶ 를 클릭하여 2페이지로 화면을 넘겨서 [세금종류별 서비스]-[모의계산]을 클릭합니.. 2020. 11. 12.
증여세 절감방법(ft.증여세면제한도액) 증여세란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경우 당해 증여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증여 받은 사람, 즉 수증자는 증여세 납세 의무가 있기 때문에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증여일이 2020.1.10. 이라면 증여세 신고기한은 2020.4.30.까지가 됩니다. 증여해야할 재산이 적다면 증여세 부담이 없겠지만 혹시 증여해야할 재산이 많으신 분이라면 당연히 증여세 절감방법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하실 겁니다. 오늘은 증여세를 합법적으로 절세하는 방법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면제한도액 이용하기 배우자 증여, 자녀 증여 등 친족간의 증여일 경우 증여세면제한도액 이하로 증여하면 증여세를 절세할 수 있습.. 2020. 11. 10.
증여세 신고방법 및 신고기한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이전받았을 때에는 증여세 등 세금을 납부해야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며느리, 형제, 자녀, 손자 등 가족에게 증여를 했을 경우 증여세를 납부해야하는지 조차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간이라도 증여가 이루어졌다면 꼭 신고기한 내에 증여세 신고를 해야하는데요, 오늘은 증여세 신고방법 및 신고기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세 납부의무가 있는 자는 증여세 신고서를 증여일이 속한는 달의 망링부터 3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셔야 합니다. 다만,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월이 되는 날이 공휴일, 토요일, 근로자의 날에 해당되면 그 공휴일 등의 다음날까지 신고하고 납부하시면 됩니다. 증여 사례별로 법정신고기한 과 제출서류.. 2020. 11. 9.
증여세율 증여세율 관련 안내드리겠습니다. 상속재산에 대하여 국가에서 부과하는 상속세와 비슷한 개념으로 증여세가 있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는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이전받을 때 납부해야하는 세금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상속세는 사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세금이고, 증여세는 사망과 상관없이 재산을 증여할 때 부과하는 세금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증여세에 대해 한 번 알아보고 재산을 며느리 증여, 손자 증여, 형제 증여, 자녀 증여할 때 얼마만큼의 세금을 납부해야하는지 증여세율 공부하고, 상속세율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란 타인(증여자)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 그 재산을 증여받은 자(수증자)가 부담하는 세금을 말하는데, 이때 증여란 그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형식·목적 등과 관계없이.. 2020. 11. 7.
2020년 취득세율 한눈에 보기! 매매, 상속, 증여 등을 통해 부동산을 취득하면 당연히 취득세를 납부해야합니다. 취득세의 일정비율만큼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도 납부해야하죠.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파트를 취득하면 취득세와 관련 부가세를 합하여 1.1%의 세금을 납부하면 되었으나 최근 수차례에 걸쳐 정부에서 부동산 정책을 내놓으면서 세금 계산이 더 복잡하고 어려워졌습니다. 즉, 1.1%만 납부하던 취득세 및 관련 부가세가 현재는 주택가액, 주택수, 조정대상지역 등에 따라 더 세분화되었습니다. 여기에 상속, 증여에 따른 취득세까지 고려하면 머리가 아플 지경입니다. 미친듯이 날뛰는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한 좋은 취지의 세법 개편안이지만 점점 더 복잡해지는 세금을 보면서 한숨만 나오는건 저 혼자만의 생각.. 2020. 11. 1.
반응형